IT이야기2011. 3. 24. 21:20

그 때는 검색봇 이름이 'pirs'과 'pirst'였다. 그런데, 3일전에 'first'로 비슷하게 이름이 바뀌어서 접속을 했다. 기존에 User-Agent명으로 차단을 시켜두었다. 하지만, 이를 비켜간 'first'는 마구 긁어가기 시작했다. 몇 시간뒤에 차단 조치를 취하고(개인정보를 취급하지 않는 사이트임), 얼마동안 페이지를 긁어가는지 확인했다. 48시간 가까이 긁어갔다. 포털, 구글의 봇보다 무섭다.

  • 사이트 운영자들은 봇이름으로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름을 바꾸면 문제가 있지 않겠는가? 예를 들어 구글이나 네이버, 다음의 봇 이름이 바뀐다고 생각해봐라.
  • 여전히 robots.txt는 읽지 않았다. KISA의 공지와는 다르게 검색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 과거에 긁어간 적이 있는 사이트는 페이지 목록이 DB화되어 있는 건가? 차단을 해도 여전히 여러 페이지를 읽어갔다.
  • referer는 http://www.pirst.kr:6600/RS/PIRST_FAQ.jsp 로 남았다.
  • IP대역은 61.111.15.110~61.111.15.119까지 총 10개이다. 이전의 IP 대역과 비슷하고, 검색 서버의 대수는 동일했다. KISA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는 'KISA의 '개인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referer에 남겨진 http://www.pirst.kr:6600/RS/PIRST_FAQ.jsp 페이지의 공지 내용 ]


사이트 운영자에게 대상 사이트임을 먼저 알리는게 우선이지, 먼저 긁어가고 불편하면 메일로 문의를 하라는 것은 순서가 바뀌것 아닌가? 요즘 개인정보노출에 대한 문제가 많다. 그래서 KISA의 취지를 이해하고, 취지도 좋다고 본다. 하지만, 좋지 않은 인상을 남기는 안타까운 순간이다.
Posted by 좋은진호
IT이야기2010. 4. 15. 01:32
최근 KISA의 '입찰공고' 중에 '2010년 웹사이트 개인정보 모니터링 사업자 선정' 제안요청서를 봤다. 개인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환경 정보가 있다.

- 10대 검색서버(OS : Redhat Ent5.0 이상)
-  3대 검증/제어/현황/확인 서버
-  1대 DB 서버 (DBMS 알티베이스)

검색서버, 즉 검색봇 용도로 10대가 마련되어 있다. 10대라면 떠오르는게 있다.

2009년 12월에 'KISA, 개인정보 노출 검사 위해 웹페이지 마구잡이로 긁어가'라는 제목으로 썼던 'KISA 개인정보 노출 대응시스템'이 있다. 그 때 검색봇인 pirs 봇의 IP가 210.97.192.140~149이거나 211.254.252.50~59등 IP개 10개다. 그리고, 당시 언론에서 '검증,확인,분석,대응'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라는 말을 썼는데, 제안요청서에 적혀있는 3대의 서버용도명과도 비슷하다. 이 제안서에 있는 시스템과 'KISA 개인정보 노출 대응시스템'은 같은 시스템일 것으로 추측해본다. 다른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모니터링 대상만 조금 다를 뿐 목적은 같을 것 같다.

작년말에는 대상이 6500여개 웹사이트였는데, 제안요청서에는 '약 45,000개 웹사이트 개인정보 모니터링'이라고 적혀있으니 그 대상이 확대된 모양이다.

  o 약 45,000개 웹사이트 개인정보 모니터링
   - 점검 대상 : 중앙부처, 지자체, 공사/공단, 대학교, 준용사업자, 교육기관 및 초중고 학교 웹사이트
     ※ 점검 대상은 '09년 점검대상과 KISA가 추가로 지정하는 웹사이트
   - 점검 주기 : 2주

2. 고려사항
  o 주요 준용사업자(병원,호텔,백화점 등) 및 초중고 학교로 노출점검 대상 확대
    - 약 22,000개 도메인 목록 수작업 확보 필요


다른 제안서도 봐보자.

  • 휴대전화 실시간 스팸차단리스트(M-RBL) 구축
스팸메일 차단할 때, RBL(Real-time Blackhole List)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제안요청서를 보니, 모바일도 스팸전화 차단을 위해 스팸메일과 비슷한 방법을 이용한다. KISA에 M-RBL 시스템(모바일 RBL시스템)을 구축해두고, 이통사에서는 rsync를 이용해서 주기적으로 M-RBL파일을 받아가는 형태이다.
  •  이해관계자별 IPv6 적용 안내서 제작 사업자 선정
2011년경 IPv4주소 할당 중지 예상에 따라 IPv6 인프라 준비를 위해서 안내서를 제작한다는 것이다.
IPv4 중지 예측에 대해서는 'IPv4, 2011년 9월 할당 중지 예측'를 읽어보길.


위 3개의 정보만으로도, KISA의 '입찰공고'를 자주 봐야할 이유가 생겼다.
1) '시스템 구성'정보를 얻을 수 있고,
2) 정책방향(그 정책이 좋은지, 나쁜지와는 상관없이)도 미리 알 수 있는 흥미로운 공간이다.


혹시 이글을 KISA등 IT 정책세우시는 분들이 한분이라도 읽을지도 모르니, 한가지 덧붙인다.

'IT이용도'에 따라 '한 사람'의 생활이 달라지지만,
'IT정책'은 '한 국가'의 IT생태계를 좌우한다는 것.

Posted by 좋은진호
IT이야기2009. 12. 14. 23:51
며칠전부터 'pirs'라는 User-Agent명으로 페이지를 너무 많이 긁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어제 하루만 18000여건의 페이지 요청이 발생했다. 웹로그를 살펴봤더니 Referer중에 www.pirst.kr:6600/ 가 남아있다. html 소스를 봤더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바로 11월말에 구축했다는 'KISA 개인정보 노출 대응체계' 사이트였다.

* Project Name :  KISA 개인정보 노출 대응체계 구축
* Source Name : header.jsp
* Description : (대응시스템)HEADER
* DATE : 2009.06.27
* Author  : OOO
* History : 2009.06.27

'다음'에서 'KISA 개인정보 노출 대응체계'를 검색하면 다수의 기사가 나온다. 그 중 '세계일보' 기사 하나만 살펴보자.
  •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웹사이트에서 노출되는 개인정보를 검색·대응하는 '개인정보 노출 대응시스템'을 23일 구축완료
  • 24일부터 365일·24시간 운영
  • 하루 약 6500개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 노출을 검색
  • 그동안 포털 검색을 활용, 웹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만 노출됐는지 검색했으나 이번 상황실 운영을 계기로 신용카드번호·계좌번호 등 9개 개인정보 노출을 검색

'개인정보 노출 대응시스템' 무엇이 문제인가.

  1. 대상이 6500여개 웹사이트이다. 개인정보 자체를 취급하지 않는 사이트는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데, 취급 유무 판단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정보가 없는 사이트도 저 'pirs', 'pirst' 봇이 방문을 했기 때문이다.
  2. 하루에 18000여 페이지를 긁어갔다. 문이 열렸다고, 신발자국 내면서 집안 구석구석 먼지하나까지 확인한 것이 아닌가. 그 것도 주인도 모르게 말이다. 목적이 분명하다면 대상 사이트에는 미리 알려줘야하는 것이 옳다.
  3. robots.txt는 전혀 읽지 않는다. 봇(bot)의 기본 룰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모든 페이지의 개인정보를 확인해야한다는 이유로 robots.txt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공개가 필요한 페이지를 제외하게 pirs 봇에 맞게 robots.txt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 걸 완전히 무시한 것이다.
  4. 모니터링한 대상 사이트의 웹페이지를 개인정보 노출에만 이용할지는 의문스럽다. 페이지 전체를 긁어가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저인망식으로 웹페이지를 마구잡이 긁어가서 감시한다면  웹생태계를 파괴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현 정부에서 규제와 감시가 강화됐기 때문에 의심하게 된다.

만약 개인정보를 취급하지 않는 곳이라면, KISA에 제외요청할 수 있겠지만 2가지 방법 중에 한가지 방법으로 차단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1.  웹서버 설정에 User-Agent명으로 차단 (403 페이지로 처리)

SetEnvIfNoCase User-Agent   "pirs"   notaccept
SetEnvIfNoCase User-Agent   "pirst"  notaccept

<Location "/">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env=notaccept
</Location>


2. 방화벽에서 봇 IP를 차단

pirs 봇은 210.97.192.140~210.97.192.149 에서 접속했다. 방화벽에서 210.97.192.0/24 대역 전체를 또는 해당 IP만 차단한다.
pirst 봇은 61.111.15.10 과 61.111.15.20, 61.111.15.30 에서 접속했다. pirst봇은 한 두 페이지 정도만 요청이 이뤄졌다. 이 3개 IP는 차단전에 좀 더 지켜보고 요청이 많다면 차단 처리하는게 좋을 듯.

* 관련글 :

2010/04/15 - [IT이야기] - KISA의 웹사이트 개인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2011/03/24 - [IT이야기] - KISA, 개인정보 노출 검사위해 웹페이지 여전히 긁어간다

Posted by 좋은진호
시스템이야기2007. 3. 19. 18:08
올해로 3회째인 정보보호 안전진단의 수검주기가 12월말일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변경前 : 매년 7월30일부터 다음해 7월29일까지
-변경後 : 매년 1월1일부터 당해 12월31일까지
 (변경된 수검주기는 금년도 안전진단부터 적용됩니다.)
 
정보보호 안전진단 수검대상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년매출 100억 이상
- 3개월간 평균 1일 방문자 100만명 이상
- ISP, IDC, VIDC, PG사, .... 등
 
KISA에서는 1월말에 해당업체에 공문을 발송했으며, KISA측에서는 공문을 받지 않더라도 위 사항에 해당된다면 받으라고 하지만, 업체에서 스스로 나서서 받을려고 하겠습니까... 그리고, 기간 연장건에 대해서는 3월 9일(금)에 있었던 '정보보호안전진단 설명회'에서 건의되었고, 그 때 답변으로는 개정 준비중이라고 하더니, 그 이전에 거의 완료된 모양입니다.
 
수검주기 변경에 대한 기사도 나왔으니 살펴보세요.
 
* 정보보호 안전진단 주기 변경 (전자신문, 2007.3.15)

Posted by 좋은진호
시스템이야기2007. 2. 14. 22:38
사용자 삽입 이미지

KISA의 내부 메일을 통해서 내 블로그를 들어온게 있네?
어느 페이지를 본 것인지 확인이 안되지만 최근에 국내 DDoS공격 사례와 공격당한 root DNS, 엠파스의 장애 관련 포스팅을 한 것 때문인 것 같다. 걸어둔 '다음 웹인사이드'로 분석이 안되어서, KISA홈페이지에서 링크(메일과 무관하게) 된 거라도 있는지 무심코 살펴보았다.

 KISA 동향정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 KISA홈페이지의 동향정보에 '엠파스, 인터넷서비스 한때 차질'이라는 제목의 신문기사 링크가 있네? 동향정보에 올라오는 글은 보안, 해킹 관련 사항일 거라는 가정하에 다른 포털의 장애건 검색을 위해 '네이버', '장애', '차질' 검색어로 KISA 통합검색을 해봤지만 나오는게 없다. 보안 이외의 장애건에 대해서는 동향정보에 올리지 안는다라는 결론인데. 그럼 엠파스 장애는 공격때문?
국내는 큰사이트일수록 장애 원인을 발표하지 않는터라 궁금증만 커진다.


그러저나 '다음 웹인사이드'의 유입검색어 분석을 보니 9개가 DDoS공격 관련 검색어라니..
몇주전에는 UCC, 동영상, 사진, DieHard가 주검색어였는데, DDoS에 대한 관심이 대단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잡다한 생각이라 제목을 뭘로 써야할지 애매하더라...
Posted by 좋은진호